과일은 당뇨에 해롭다? 오히려 지방이 진짜 범인이다!
당뇨병, 고혈압, 천식을 동시에 앓고 있는 나는 하루하루가 관리와 선택의 연속이다. 특히 식생활은 병의 악화나 회복을 좌우하는 핵심 변수다. 그런 나에게 『산음식 죽은 음식』은 단순한 건강서가 아니라 ‘삶을 바꾸는 식습관의 설계도’였다.
이 책의 핵심 메시지는 명확하다. “과일은 당뇨의 원인이 아니다. 진짜 문제는 고지방 식단이다.” 그동안 당뇨환자에게 과일을 피하라는 조언은 상식처럼 여겨졌지만, 저자 더글라스 그라함은 정반대의 해석을 내놓는다. 과일의 당은 쉽게 흡수되고 빠르게 소모되어 혈당을 안정시킨다는 것이다. 반면, 지방은 혈관 벽에 막을 형성해 당이 세포로 들어가지 못하게 하고, 이로 인해 혈당 수치가 급상승하게 만든다고 설명한다.
나는 이 주장을 실제로 실천해 보았다. 점심 한 끼를 바나나, 사과, 키위 등 생과일로 대체하고, 저녁은 기름기 없는 채소와 현미밥을 섭취했다. 며칠 만에 나타난 변화는 놀라웠다. 식후 혈당이 눈에 띄게 안정됐고, 천식 증상이 줄어들었으며, 오전 내 피로감이 현저히 감소했다.
채식을 해도 살이 빠지지 않는 이유는?
책은 한 가지 흥미로운 사실도 짚고 넘어간다. “채식을 해도 살이 빠지지 않는 이유는 바로 과도한 지방 섭취 때문이다.” 많은 채식주의자들이 유제품, 견과류, 올리브유 등 식물성 고지방 음식에 의존하는 식습관을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체중이 줄지 않고 오히려 피로감과 소화불량을 겪는 경우가 많다. 나는 실제로 ‘비건 마요네즈’, ‘너트치즈’, ‘두유라떼’ 등을 즐겼던 시절 체중이 늘고, 혈압이 높아졌던 경험이 있다. 이 책을 읽고 나서야 식물성이라도 고지방은 지방이라는 사실을 체감하게 되었다.
산 음식이 주는 치유력: 내 몸이 먼저 반응했다
『산음식 죽은 음식』은 조리되지 않은 과일과 생채소를 ‘살아 있는 음식’이라 부르며, 이들이 몸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지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조리된 음식은 대부분 고지방 음식이며, 영양소가 열로 파괴되기 쉽다. 특히 ‘입에 좋은 음식이 몸에는 해롭다’는 주장은 내 경험과도 맞닿아 있었다. 기름지고 짭조름한 음식은 입은 즐겁지만, 식후 불쾌감이나 피로, 혈당 변동이 항상 뒤따랐다.
반면, 아침 공복에 따뜻한 물 한 잔과 생과일 몇 조각으로 시작한 날은 위가 편하고, 정신이 맑았다. 책에서는 “소화에 에너지를 쓰지 않으면 그 힘이 몸의 회복과 정화에 쓰인다”고 말하는데, 그 진실을 내 몸이 먼저 증명해 보인 것이다.
고혈압·천식에도 효과가 있었던 식단
고지방 식단은 혈압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나는 이 책을 읽기 전까지도 저염식만이 고혈압 관리의 핵심이라고 믿었다. 그러나 저자는 지방이 혈관 내벽에 염증을 일으키고, 순환을 방해하며, 혈압을 높인다고 주장한다. 식단을 바꾼 후, 내 혈압도 10~15 정도 안정되었고, 천식으로 인한 호흡곤란이 줄어들었다. 특히 과일과 채소가 혈액을 정화해 세포에 산소 공급을 원활하게 한다는 설명은, 내가 실제로 겪은 호흡의 편안함과 딱 맞아떨어졌다.
‘죽은 음식’에서 ‘산 음식’으로: 식단의 전환이 가져온 삶의 변화
이 책은 나에게 새로운 식습관을 제안한 것이 아니라, 오래된 진실을 다시 상기시켰다. 요리되지 않은 자연식물식은 인류의 진화적 설계에 가장 가까운 식단이다. 식단 전환은 단번에 이루어지지 않았다. 아침은 과일, 점심은 반과일+반채소, 저녁은 현미와 찐 채소로 구성하며 점차 조리음식을 줄여갔다.
무엇보다도 이 책은 나에게 ‘몸이 먼저 아는 진실’을 말해줬다. 요란한 영양학 이론보다, 실제로 혈당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몸이 얼마나 가볍게 깨어나는지를 직접 체험한 것이 가장 강력한 설득이었다.
결론: 병이 있는 사람일수록 더 읽어야 할 책
『산음식 죽은 음식』은 당뇨, 고혈압, 천식 등 만성질환을 가진 사람들이 반드시 읽어야 할 책이다. 과일을 제한하라는 기존 의학 상식을 뒤집고, 진짜 범인이 지방이라는 점을 과학적 논리와 풍부한 사례로 입증한다. 나처럼 약에 의존하면서도 병이 나아지지 않는 이들에게, 이 책은 하나의 전환점을 제공해줄 것이다.
'건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년 건강에 필요한 락토페린 3가지 주요 효능 부작용 복용법 (0) | 2023.12.07 |
---|---|
건강 식품 구기자 효능 부작용 복용법 (0) | 2023.12.04 |
아르기닌 효능 부작용 복용법 섭취량 엘아르기닌 (0) | 2023.10.27 |
세라티크와 세라마이드 효능 부작용 복용법 (0) | 2023.10.23 |
콘드로이친 효능 부작용 복용법 관절염 (0) | 2023.10.23 |